<p>’24년 제11회 「찾아가는 금융규제 샌드박스」 간담회가 블록체인 기업 특집으로 개최되었습니다.</p> <p>-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금융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8개 핀테크 기업들을 금융위, 금감원, 핀테크지원센터가 만나 소통을 진행 </p> <p> </p> <p> </p> <p><img alt="" src="https://sandbox.fintech.or.kr/api/image/2f5f855a-8872-4556-a296-83d702a39a8a/download.do" style="height:270px; width:700px" /></p> <p> </p> <p> </p> <p> </p> <p> </p> <p>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, 한국핀테크지원센터는 11월 11일 여의도 오투타워(서울핀테크랩)에서 ’24년 제11회 「찾아가는 금융규제 샌드박스」 간담회를 블록체인 관련 기업들을 대상으로 개최하였다.</p> <p> 「찾아가는 금융규제 샌드박스」 기업들이 혁신적 서비스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맞닥뜨리는 현장의 이슈들을 함께 논의하는 자리로, 금융당국이나 핀테크지원센터와 핀테크 기업들이 상호 이해를 증진하는 계기가 되어왔으며, 올해들어 매달 1번꼴로 열리고 있다.</p> <p> </p> <p> 금번 간담회는 올해 11회차로서, 블록체인을 활용하는 기업들만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. 그동안 금융규제 샌드박스 제도를 통해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는 ‘비상장 주식 거래 플랫폼’, ‘분산ID 기반 비대면 실명확인 간소화’ 등의 서비스들이 시장에 출시된 바 있는 만큼, 향후에도 블록체인 기술을 혁신적 금융서비스 제공에 활용하는 사례가 시장에 나타날 것으로 기대된다.</p> <p> 이번 간담회에 참여하는 기업은 총 8개 업체로, 구체적으로 참여 기업들은 암표와 가짜 티켓을 막는 티켓팅 서비스개런터블, K-POP 오디션 트레이닝 투자 서비스모핑아이, 가상자산 지갑 주소 검증 및 모니터링 솔루션보난자팩토리, NFT기반 기프티콘 에스크로 서비스블로코, 클라우드 기반의 분산원장 인프라 구독형 서비스블록체인글로벌, 토큰증권 등 신종자산의 신탁 서비스인피닛블록, 산업재산권 증권형 토큰 발행 서비스핑거, 기관투자자를 위한 디지털 자산 중개 서비스해피블록 등 블록체인을 활용한 다양한 금융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준비하고 있다.</p> <p> </p> <p> 이들 기업들은 사업 추진과정에서 겪는 규제 관련 애로사항 및 금융규제 샌드박스 참여* 가능 여부 등을 질의하였으며,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싶다는 희망도 표명하였다.</p> <p>* (예시) 위탁테스트 및 지정대리인 제도를 통해 분산원장 기술을 테스트해볼 수 있는지 여부</p> <p> </p> <p> 예컨대, 신종자산의 신탁업무 등 자신들이 준비중인 서비스에 대한 지정대리인 제도*의 활용 가능성 여부, 미지정 통지를 받은 혁신금융서비스의 재신청 가능성 등 금융규제 샌드박스 제도에 대한 질의를 하기도 하였다. 국가사업이나 공공 프로젝트에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할 수 있도록 지원해 달라거나, 기술 관련 채용에 대한 정책적 지원을 건의하는 목소리가 이어지기도 했다.</p> <p>* 핀테크 기업 등(지정대리인)이 금융회사의 본질적 업무를 수탁받아 금융서비스를 시범 운영하는 제도로, 금융규제 샌드박스의 일부분</p> <p> </p> <p> 한편, 올해 마지막 간담회인 12회차 간담회는 12월 17일(화) IBK 1st LAB에서 진행할 예정이다.</p>